본 안과는 다양한 안과 질환에 대하여 분야별 전문 진료를 실시하며, 백내장, 녹내장, 망막, 유리체, 성형안과, 사시 및 신경안과의 분과로 세분하여 각 세부 분야에서 다년간의 경험을 가진 전문 교수진이 직접 진료와 수술을 전담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안과는 최신/최상의 진단 검사 및 수술 장비를 도입하여 진료의 질을 높였습니다. 최근 안과 진료에서 가장 핵심적인 진단 장비 중 하나인 최신형 빛간섭단층촬영기(Cirrus 6000 AngioPlex)를 비롯하여 형광안저촬영기(SpectralisHRA), 각막지형도 검사기(Pentacam HR), 초음파검사기, 시야검사기, 레이저 안구계측기(IOL Master 700)등 최신의 장비를 갖추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최신의 백내장 수술기구(Centurion), 망막 수술기구(Constellation) 및 레이저 치료기(PASCAL) 등을 도입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하고 환자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저희 세종충남대학교병원 안과는 세계 최고 수준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도록 하겠습니다.
녹내장, 소아 녹내장, 백내장
월 | 화 | 수 | 목 | 금 | |
---|---|---|---|---|---|
오전 | 가능 | 가능 | |||
오후 | 가능 | ||||
비고 |
# 수술은 수요일 오전/오후 시행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초진 환자분들은 타병원 경유해서 오실 경우, 타병원 진료기록 및 검사결과를 가져오시면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녹내장, 소아 녹내장, 백내장
진료일정 | 월 | 화 | 수 | 목 | 금 |
---|---|---|---|---|---|
오전 | 가능 | 가능 | |||
오후 | 가능 | ||||
비고 |
# 수술은 수요일 오전/오후 시행하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초진 환자분들은 타병원 경유해서 오실 경우, 타병원 진료기록 및 검사결과를 가져오시면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성형안과, 눈물길, 눈꺼풀질환, 의안, 갑상샘눈병증, 사시, 약시, 소아안과, 신경안과, 복시
월 | 화 | 수 | 목 | 금 | |
---|---|---|---|---|---|
오전 | 가능 | ||||
오후 | 가능 | 가능 | |||
비고 |
의료진 일정 이슈 사항이 없습니다.
성형안과, 눈물길, 눈꺼풀질환, 의안, 갑상샘눈병증, 사시, 약시, 소아안과, 신경안과, 복시
진료일정 | 월 | 화 | 수 | 목 | 금 |
---|---|---|---|---|---|
오전 | 가능 | ||||
오후 | 가능 | 가능 | |||
비고 |
의료진 일정 이슈 사항이 없습니다.
망막, 포도막, 유리체, 안구내 주사, 레이저 치료, 유리체절제술
월 | 화 | 수 | 목 | 금 | |
---|---|---|---|---|---|
오전 | 가능 | 가능 | |||
오후 | 가능 | ||||
비고 |
의료진 일정 이슈 사항이 없습니다.
망막, 포도막, 유리체, 안구내 주사, 레이저 치료, 유리체절제술
진료일정 | 월 | 화 | 수 | 목 | 금 |
---|---|---|---|---|---|
오전 | 가능 | 가능 | |||
오후 | 가능 | ||||
비고 |
의료진 일정 이슈 사항이 없습니다.
질환명 | 상세내용 |
---|---|
백내장 | 백내장 클리닉에서는 노년성 백내장을 비롯하여 합병 백내장, 이차성 백내장 등 다양한 백내장 질환에 대한 진단 및 관리, 수술을 시행합니다. 수술 결정을 위하여 교정시력 및 기본적인 백내장 상태 점검 뿐만 아니라 Pentacam HR 장비를 이용한 정량적인 백내장 상태 분석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수술 후 시력 호전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망막 사진촬영 및 검진, 빛간섭단층촬영(OCT) 및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OCTA), 자동시야검사 등을 포함하는 정밀검사를 시행하며, 수술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각막내피세포 촬영도 실시합니다. 백내장 클리닉에서는 백내장 수술 시 눈 안에 삽입되는 인공수정체의 정확한 도수 결정을 위하여 초음파안구계측 및 레이저안구계측(IOLMaster 700)을 시행하여 이중 확인합니다. 또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난시교정용 인공수정체(Toric IOL) 및 다초점인공수정체(multifocal IOL)를 이용한 프리미엄 백내장 수술 역시 시행하고 있습니다. |
녹내장 | 녹내장 클리닉에서는 진단을 위하여 기본적인 시력, 자동굴절검사 및 안안검사 뿐안 아니라 시신경유두촬영 및 망막신경섬유층촬영, 빛간섭단층촬영(OCT) 및 빛간섭단층혈관조영술(OCTA), 자동시야검사, 각막두께검사, 안축장검사, 전방각검사 등을 포함하는 녹내장 정밀검사를 시행합니다. 녹내장 클리닉에서는 기본적인 녹내장의 약물치료 외에도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맞춰 다양한 수술 및 레이저 치료를 시행하고 있으며, 최근 개발되어 국내에도 서서히 보급되고 있는 최소 침습 녹내장수술 역시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아 인구가 많은 세종시의 인구 특성에 맞추어, 소아 녹내장에 대한 진료 및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
유리체, 망막, 포도막 질환 | 망막은 눈의 안쪽 벽을 이루고 있는 조직으로서 시신경세포들이 분포하여 빛을 감지하여 시신경을 통해 뇌로 전달하는 매우 중요한 구조물입니다. 망막은 외부에서는 그냥 관찰할 수 없으며 특수 렌즈를 통해 들여다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망막을 검사하고 치료할 수 있습니다. 저희 안과는 최신의 망막 검사 장비 및 치료 장비 (최신형 빛간섭단층촬영기 (Cirrus 6000 AngioPlex), 형광안저혈관촬영기 (SpectralisHRA), 망막 수술기구 (Constellation), 레이저 치료기(PASCAL)) 를 갖추고 있으며 다년간의 경험과 지식을 통해 최고 수준의 치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
성형안과 | 성형안과는 눈꺼풀, 눈물기관, 안와 등 눈 주변 부속기관에 관한 질환을 다루는 전문 분야입니다. 성형안과 클리닉에서는 미용적 목적으로 시행하는 쌍꺼풀 수술부터 눈의 기능적 이상을 초래하는 다양한 질환 (덧눈꺼풀, 안검하수, 눈꺼풀 종양, 눈물길 질환, 갑상샘눈병증 등)에 대한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성형안과 수술은 미용적 측면과 더불어 시력 및 눈의 기능에 직접,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본원에서는 안과의 성형안과 전문의가 최선의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사시, 소아안과 | 두 눈이 동시에 하나의 물체를 보지 못하고, 검은 동자가 밖이나 안쪽으로 치우쳐져있는 상태를 사시라고 합니다. 눈이 치우친 방향에 따라 내사시, 외사시, 상사시, 하사시 그리고 회선사시로 분류 합니다. 사시 클리닉에서는 소아는 물론 성인에서의 내사시, 외사시를 비롯하여 마비사시나 특수사시를 진단하고 치료함으로서 정상적인 시력발달을 돕고 좋은 외모를 되찾을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아안과 클리닉에서는 전문적인 진료를 통하여 어린이의 시력검사뿐만 아니라 시력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사시, 굴절이상, 선천백내장 등의 선천 안질환 을 초기에 발견하고 이를 조기에 치료함으로서 건강한 시력발달을 돕고 있습니다. 생후 6개월 이후에도 눈 맞춤이 안되는 경우, 눈의 검은 동자 위치가 이상해 보이는 경우, 양안의 시력차이가 많이 나거나 책을 너무 가까이에서 보는 경우 등은 검진이 필요합니다. |
신경안과 | 신경안과 클리닉에서는 소아 및 성인의 다양한 시신경 및 시각로 질환 (시신경염, 허혈성 시신경병증, 압박시신경병증), 동공이상,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시신경 기능 평가를 위하여 시력과 색각검사, 동공반응검사, 빛간섭단층촬영, 시야검사 등을 포함하는 정밀검사를 시행합니다. 신경안과는 타과와의 긴밀한 협진이 중요한 분과로 신경안과 질환과 동반될 수 있는 전신적 이상에 대하여 적절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의 진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급성 또는 만성으로 단안 또는 양안의 시력저하가 있는 경우 (전안부나 망막질환 제외 후), 수직선을 기준으로 시야의 반쪽이 보이지 않는 경우, 갑자기 사시나 복시가 생긴 경우, 저시력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동공의 크기가 다른 경우 신경안과 진료가 필요합니다. |
질환명 | 상세내용 |
---|---|
백내장 |
우리 눈 속에는 카메라의 렌즈에 해당하는 기능을 하는 수정체가 있으며, 원래는 투명한 상태입니다. 백내장이란 이 수정체에 혼탁이 생기는 질환을 총칭하며, 시력이 떨어지거나 눈부심, 겹쳐보임 등의 증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
녹내장 |
녹내장이란 높은 안압을 포함한 여러 이유로 안구 내 시신경이 손상되고 이에 따라 시야가 좁아지면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실명될 수 있는 질환입니다. 녹내장은 40세 이상에서 3-4% 의 유병율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젊은 층의 녹내장 유병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유리체, 망막, 포도막 질환 |
|
성형안과 |
성형안과는 눈꺼풀, 눈물기관, 안와 등 눈 주변 부속기관에 관한 질환을 다루는 전문 분야입니다. 성형안과 클리닉에서는 미용적 목적으로 시행하는 쌍꺼풀 수술부터 눈의 기능적 이상을 초래하는 다양한 질환 (덧눈꺼풀, 안검하수, 눈꺼풀 종양, 눈물길 질환, 갑상샘눈병증 등)에 대한 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
사시, 소아안과 |
두 눈이 동시에 하나의 물체를 보지 못하고, 검은 동자가 밖이나 안쪽으로 치우쳐져있는 상태를 사시라고 합니다.
|
신경안과 |
신경안과 클리닉에서는 소아 및 성인의 다양한 시신경 및 시각로 질환 (시신경염, 허혈성 시신경병증, 압박시신경병증), 동공이상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
검사·시술명 | 상세내용 |
---|---|
자동 비접촉 안압검사 (Noncontact Tonometer) |
안구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안압을 측정합니다. 하지만 직접 접촉하여 측정하는 안압이 더 정확한 경우도 있어, 특히 성인 녹내장 환자분들의 경우 마취제 점안 후 접촉 안압 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자동 굴절 검사 (Autorefraction) |
근시, 원시, 난시 등의 굴절이상 수치를 측정합니다. 소아의 경우 자동 굴절 검사로 인한 오차가 클 수 있기 때문에, 조절 마비제를 점안한 후 조절마비 굴절 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저촬영 (Fundus Photography) |
안저촬영은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녹내장 및 각종 시신경질환 등 주요 후극부 질환을 진단하는데 가장 기본적이면서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산동 (안약으로 동공을 키우는 과정)을 시행하지 않고도 촬영할 수 있지만, 좋은 질의 영상을 위해서는 산동 과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특수 필터를 이용하여 망막신경섬유층을 자세히 촬영할 수도 있으며, 이는 녹내장 진단에 중요합니다. |
빛간섭단층촬영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
망막의 단층 이미지를 구현하는 장비로 최근 망막 질환의 진단 및 경과 관찰에 있어 필수적인 검사 기기입니다. 당뇨황반부종, 나이관련황반변성, 망막혈관폐쇄, 망막전막, 황반원공 등 망막 표면의 구조적 변화를 유발하는 모든 질환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저희 병원 안과에서는 ZEISS Cirrus 6000ⓡ 모델을 도입하였으며 단층촬영과 함께 조직 각 층의 혈관의 구조도 검사할 수 있습니다. 이 모델은 가장 최신 기종으로서 초당 100,000 스캔을 할 수 있어 더 빠른 검사가 가능해졌고 기존 모델에 비해 스캔 범위가 길어 더 넓은 부위에서 병변을 찾아내고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표준자동시야검사 (Humphrey Standard Automated Perimetry) |
시야는 정면의 한 점을 주시한 상태에서 우리 눈이 볼 수 있는 상하좌우의 범위를 뜻합니다. 녹내장 진단에 표준적으로 쓰이는 장비이며, 중추신경계 질환과 안과 질환의 진단 및 감별, 망막, 시신경질환의 진단에도 쓰입니다. 특히 환자분이 인지하지 못하는 작은 암점이나 미세한 녹내장의 진행을 민감하게 잡아낼 수 있으므로 녹내장 환자들의 경우 정기적으로 시야검사를 실시할 것을 권해드립니다. |
각막 두께 검사 (Pachymetry) |
특수 프로브를 이용한 초음파 장비를 이용하여 각막두께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합니다. 녹내장 진료에서 안압 보정에 필수적인 검사이며, 각막 부종시의 경과 관찰에도 유용합니다. |
안구 초음파 검사 (Ocular Ultrasonography: A scan、B-scan) |
초음파를 이용하여 안구를 계측하고 다양한 질환을 진단하는 장비입니다. 안구의 안축장 측정 및 백내장 수술 시 인공수정체 도수를 결정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장비이며, B-scan mode를 통하여 안구 매체 혼탁, 안내종양, 망막박리, 맥락막박리, 공막염 등의 진단에 도움을 줍니다. |
레이저 안구 계측 (IOLMaster 700ⓡ) |
레이저를 이용하여 안구를 계측하고, 이에 따라 백내장 수술 시 사용될 인공수정체의 도수를 다양한 공식에 따라 자동을 계산해주는 장비입니다. 특히 최신 IOL Master 700ⓡ 장비는 Swept source OCT 기술을 접목하여 수정체 위치 변화나 안구 후극부의 위치를 민감하게 감지하여 더 정확한 인공수정체 도수 예측이 가능합니다. 또한 프리미엄 백내장 수술 시에 사용되는 Haigis-L, Haigis-T, Barrett formula 등이 내장되어 있어 더 정확한 수술이 가능합니다. |
각막내피세포 촬영장치 (Specular Microscopy) |
각막의 내피세포를 정밀하게 측정하여 그 밀도 및 모양의 이상을 검사하는 장비입니다. 각막세포의 변성을 진단하거나 백내장 수술 전 수술의 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시행합니다. |
각막지형도 검사 (Corneal Tomography, Pentacam HRⓡ) |
각막의 입체적인 모양에 대해 분석하는 검사로 각막의 앞면, 뒷면 및 전체적인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원추각막, 불규칙 난시 등의 진단에 유용합니다. 특히 샤임플러그 전안부촬영기 (Scheimpflug camera)를 이용하여 한번의 촬영으로 수면체 후면까지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짧은 시간 동안 수많은 측정값을 통해 세밀한 분석을 할 수 있어 각막 전후면의 미세한 변화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
형광안저혈관조영술 (Fluorescein/Indocyanine Green Angiogrpahy) |
망막 및 맥락막의 혈관질환에서 혈관의 형태와 누출, 순환 등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데 조영제를 팔에 주입하고 전신 혈관을 경유하여 망막 혈관에 충만되는 과정을 촬영하는 장비입니다. 당뇨병성 망막병증, 망막혈관폐쇄, 나이관련 황반변성, 중심성장액성맥락망막병증, 포도막염, 안구내 종양 등 여러 가지 질환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
색각검사 |
색각이상 여부를 검사합니다.
|
입체시검사 | 양안시 및 입체시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어려서부터 사시나 약시가 있었던 경우, 한눈만 사용하는 경우, 시력이 나쁜 경우 비정상 입체시를 보일 수 있습니다. 안경을 쓰고 재미있게 검사를 하기 때문에 소아들이 안과 검사와 친해지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
랑카스터 검사 (Lancaster test) |
후천적 사시 또는 복시 환자에서 아홉 주시 방향에서 두 눈의 편위정도를 평가하는 검사법입니다. 우안에 붉은 색, 좌안에 논색의 안경을 끼운 상태에서 검사자가 녹색/붉은색 불빛의 전등을 들고 스크린의 한 점을 가리키면 피검사자는 붉은색/녹색 불빛의 전등으로 그 점을 맞추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
안과용 Nd:YAG 레이저 | 백내장 수술 후 수술시 인공수정체의 안정성을 위해 남겨놓는 후낭(posterior capsule)에 혼탁이 생기는 것을 후발백내장이라고 합니다. 후발백내장은 외래에서 레이저 시술을 통해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급성 녹내장의 레이저 시술 등 다양한 안과질환에 사용되는 레이저입니다. |
망막광응고 레이저 (PASCALⓡ) |
안구의 전안부 및 후안부의 광응고술에 쓰이는 레이저 장비로, 당뇨망막병증, 급성 녹내장 등에서 사용됩니다. 기존의 레이저에 비해 짧은 레이저 노출시간으로 인해 통증이 적고 황반부종으로 인한 시력저하가 적습니다. 레이저 패턴을 지정하여 안구에 조사하므로서 시술 시간도 단축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본 모델은 577 nm 파장의 레이저를 사용하여 기존의 532 nm 파장의 레이저에 비해 더 효과적인 망막광응고가 가능합니다. |
수정체절단장치 (Centurionⓡ) |
백내장 수술 시 가장 핵심적인 수정체 유화술에 쓰이는 장비로, Alcon 사의 Infinity 장비의 후속 모델이자 최상위 버전입니다. 수술 중 적절한 안압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수술 중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시키면서 안정성도 극대화하였습니다. |
유리체절제기 (Constellationⓡ) |
유리체절제술은 망막 질환의 치료에 필수적인 수술로서 유리체절제기를 이용해 안구 내부의 해부학적 구조를 정상화하는 수술입니다. 국내외 대학병원과 망막 전문의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Alcon사의 Constellationⓡ을 갖추고 있으며 여러 가지 특수 장치를 통해 좀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수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